안녕하세요.
실버라인 인사드립니다.

요즘 디지털 노마드 또는 부수익으로 블로그나 유튜브 하시는 분들 많죠.
거기서 얻어지는 수익이나 사업용으로 하시기 위해서
업종코드 알아보고 계신 분!
블로거나 유튜브는 이제까지 '기타 자영업' 쪽으로 분류가 되었었는데요
블로거나 유튜브를 위한 업종코드도 생겼다고 해요.
바로! 알아볼게요.
[유튜브 관련 사업자 업종코드]
- 업종코드 921505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과세 사업자)
- 업종코드 940306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면세 사업자)
국세청 자료 중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에 대한 설명 첨부해드릴게요.
이렇게 두가지가 있는데요.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 너무 고민이 되시죠!
이 두가지의 차이를 알려드릴게요.
전문적인 촬영장비와 별도의 방송사무실을 갖춰서 컨텐츠를 창작하시는 경우
업종코드 921505 과세사업자로 등록하시면 됩니다.
그 외에 별도 임대 사무실 없이 집에서 개인으로 1인으로 소소하게 하시는 분은
업종코드 940306 면세사업자로 등록하시면 됩니다.
단, 면세 사업자는 부가가치세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과세 사업자는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에 신고를 해주셔야 합니다.
정확한 정보는 국세청 또는 지역세무사에게 꼭! 상담받아보세요!
'필수정보 > 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세액공제 전자상거래업 통신판매업 사업자 등록 전 준비물 세무사에서 사업자등록하는 방법 (2) | 2024.06.12 |
---|---|
신규 개인사업자 스마트스토어 파워링크 무료광고 무료마케팅 사기피해 조심하세요 (2) | 2024.06.04 |
메타 비지니스 포트폴리오 제한 푸는 방법. 메타 광고 계정 비활성화 해결 방법 (0) | 2024.06.02 |
사업자 등록과 청년세액감면 제도 5년간 100%면제, 모르면 세금 폭탄 (0) | 2024.05.17 |